제임스딘딘의
Tech & Life

수행 프로젝트 이력 35

데이터 글러브 동작 테스트 영상

Air Haptic Glove 프로젝트 초기의 데이터 글러브 테스트 영상 입니다. 3D Rendering Part : 전영호3D Rendering Engine : microsoft XNA 3.1Implement Language : C#Physics Engine : JigLibX.Net3D Modeling : 3D studio max 2011 Hardware Part : 김재민, 권기우MCU : cortex m3acceleration sensor, magnetic sensor, flex sensor : can`t remember 첫번째 영상은 데이터글러브를 착용한 사용자의 손가락 구부림 정도를 추정하여 3D 손에 적용하는 테스트 영상이다. 프로젝트 초기의 영상이라 손가락 떨림 보정이 적용되어있지 않은 것을..

스마트폰 거치대 기구부 설계

본 프로젝트의 기구부를 만들 필요가 있었다. 회로를 보관할 박스 부분과, 스마트폰 거치대를 붙일 부분, Panning 모터와 Tilting 모터를 붙일 부분 등이 필요했다. 일단, 손으로 대충 구상하여 설계한 뒤, 가공이 쉬운 아크릴과 MDF, 이미 가공되어있던 알루미늄 가공물등을 이용해 프로토 타입을 만들어 보았다. 프로토타입 제작에 2일 걸렸다. 스마트폰 거치대 초기 프로토타입의 모습 이후 프로토타입이 어느정도 가용하다고 판단을 하고, 프로토타입의 설계도를 기준으로 솔리드웍스로 재설계를 했다. 솔리드웍스 재설계는 팀원중 종섭이가 전담하여 진행해 주었다. 솔리드웍스 완전 처음 사용한다고 하며 튜토리얼 보고 학습후 진행 했으나, 진행속도는 빠른 편이었다. 약 2일 가량 소요. 설계된 파일에서 2D 도면만..

식물 감성 모니터링 시스템 : Youtube 업로드 영상

이 프로젝트를 수행했던 김들이, 김예슬, 이지우, 최윤미, 팀장 최경호 모두 수고 많았습니다! 특히, 졸업작품 때문에 바쁜 와중에 영상 편집까지 하느라 날밤을 많이 지새웠을 지우에게 정말 고생했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팀장 최경호의 말) 한글 버전 링크 : http://youtu.be/YNmFbD_uDm4 English version link : http://youtu.be/2GKDcoodOCs

FFmpeg 참고자료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화상감시 장비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얻게된 지식을 공유하는 포스팅 입니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FFmpeg와 x264 라이브러리를 안드로이드에 포팅하여 H.264 인코딩/디코딩을 사용하였다.결국 인코딩/디코딩 모두 성공 했지만 불완전 하다. 네트워크 전송시 Intra 코딩만 가능. Inter 코딩 시 수신 측에서 디코딩 불가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 중에 있다.(2012. 10월)아래 링크는 이 작업과정에서 참조했던 사이트의 링크들 이다. - ffmpeg 사용시 참고했던 사이트 링크ffmpeg는 레퍼런스 문서나 예제가 많지 않아서 상당히 애를 먹었던 기억이 있다.doxygen 문서가 있긴 하지만, 필요한 걸 찾기가 개인적으로 불편했었다. 그래서 각 섹션마다 링크를 걸어둔..

libavcodec을 사용한 H.264 인코딩/디코딩 - C code

*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정용 화상감시 장비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얻게된 지식을 공유하는 포스팅 입니다. 본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는 아래와 같다. 여기에서 코덱이 필요한 이유는, 감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하기 때문이다.raw data를 그대로 전달 할 경우, 1프레임 영상의 크기가 1메가를 상회하게 된다. (지원 해상도는 QCIF, QVGA 만 허용함. 이는 각각 352 x 288과 320 x 240 이다.) 네트워크 대역폭 제한으로 인해 받아 보는 쪽에서 영상의 프레임이 낮을 것이다.또한 3G/4G 를 사용한다면 데이터 요금도 상당할 것이다. 이를 h.264 코덱으로 인코딩 하여 네트워크로 보내게 된다면, 이런 문제를 해결 가능 할 것이라 판단하여 코덱을 사용하였다. 물론 인코딩 하..

[작업일지] 2012년 9월 21일 - 금

중계서버 - (전영호) - 영상 스트리밍 부분을 수정 - 기존의 16bit start 마크 / 고정폭raw영상데이터 /16bit end마크 를 빼고. - start와 end 를 문자열로 대체. start - 데이터size를나타내는int값(4byte) - 데이터 - end - 이렇게 4부분으로 분할 - camclient, viewclient, clientconnection 3개 스레드의 타이밍 조정. wait( ), notify( ) 활용 카메라앱 - (전영호) - 영상 인코딩 h264 , (gop 를 0으로 하여 intra 코딩만 하도록 함) - 전송되는 스레드의 타이밍 조정 뷰어 앱 - (전영호) - 영상 디코딩 h264 - ui layout 수정 - 패키지 재분류 - recvView 스레드를 없애고 ..

[ffmpeg] NDK 를 이용해 안드로이드 용 library 빌드시 문제 : codec_names.h 누락

ndk version : r8ffmpeg version : 0.10.4host os : windows 7terminal : cygwin 참고 자료 : [Android NDK FFmpeg 컴파일 강좌 (4/4)] http://www.androidpub.com/index.php?mid=android_dev_info&page=1&search_target=tag&search_keyword=FFmpeg&document_srl=1646540 문제 내용참고 자료를 통해 ffmpeg를 빌드하던 중 codec_names.h 를 찾지 못한다는 문제가 발생. D:/Eclipse_Workspace_Android/FFmpegBasic/jni/ffmpeg/libavcodec/utils.c:1568:36: error: libavc..

식물 감성 모니터링 시스템

1. 개요 본 작품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KoreaTech) 2012년 1학기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실습' 과목의 텀 프로젝트로 진행한 것이다. 식물 감성 모니터링 시스템 (Plant Emotion Monitoring System with Facebook) 은 다음과 같은 컨셉으로 개발을 진행하였다. 글보다 소개영상을 먼저 보고 싶다면 이곳을 클릭 ”Facebook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식물의 상태를 모니터링 및 관리하며 식물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아두이노와 Java / Facebook API를 통해 구현한다.“ 진행 인원은 총 6명 이다. 팀장 : 최경호 기구부 설계 및 제작 : 김들이, 최윤미 Arduino 프로그래밍 : 최경호, 김예슬 중계서버 및 인공지능 : 이지우 Facebook API ..

1 2 3 4